공대남이다.
요즘 주 69시간 정책에 대한 내용이 이슈다.
사실 좋다, 안 좋다 등의 말이 많고 정책을 설명을 해주면서 좋은 이야기들을 막 이야기 해주는데 사실 잘 모르겠다.
그래서 우리의 ChatGPT에게 정책을 교육시키고 이 정책에 대해서 생각을 물어보자!
1. 정책에 대한 내용 설명 및 대답
제일 처음 아무것도 교육이 안되어있는 상황에서 [주 69시간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해]라고 물었을 때
ChatGPT의 답변은 부정적이였다. 그래서 69시간에 대해서 시간이 길다고 생각하는 것 같아서 현재의 주 52시간에 대해서 물어보았다.
와우.. 주 52시간에 대해서는 굉장히 긍정적으로 바라본다. 그럼 현 제도와 주 69시간에 대해서는 분명 69시간이 안 좋다는 ChatGPT의 생각이다.
그럼 보상과 구체적인 설명을 좀 더 적어보도록 하자
1. 근로시간 선택권 확대
2. 근로자 건강권 보호강화
3. 유연한 근로제도
등등
각종 보상을 적어놓은 것을 입력하여 이 제도의 보상을 적었고 69시간에 대한 보상에 대해서 물어보았다.
개선을 추구해보려 했지만 현실성이 있을지에 대해서 말했다.
뭔가 글만 너무 많이 근로시간 증가에 따른 생산성 및 건강을 그래프로 나타내어 보겠다.
import matplotlib.pyplot as plt
import numpy as np
# 근로시간
hours = np.arange(30, 80, 5)
# 건강 지수
health_index = np.array([80, 75, 70, 65, 60, 55, 50,45,40,35])
# 생산성 지수
productivity_index = np.array([100, 95, 90, 85, 80, 75, 70,65,60,55])
# 그래프 그리기
fig, ax = plt.subplots()
ax.plot(hours, health_index, label='건강 지수')
ax.plot(hours, productivity_index, label='생산성 지수')
ax.set_xlabel('근로시간 (시간)')
ax.set_ylabel('지수')
ax.legend()
plt.show()
언어는 파이썬으로 했고 결과 값은 이렇다.
글이 깨졌지만 코드를 보면 알 수 있다.파란색이 건강지수이고 주황색이 생산성 지수이다.
당연한 이야기지만 근로시간이 늘어남에 따라 건강과 생산성이 떨어진다는 그래프이다.
뭔가 백마디 말보다 그림 하나로 보는 게 더 와닿는 거 같다.
2. 요약
ChatGPT의 주 69시간에 대한 분석은
주 69시간 정책은 근로시간 선택권 확대, 근로자 건강권 보호강화, 휴가 활성화, 유연한 근무방식 확산 등의 요소로 구성된 정책이다.
이 정책은 일부 근로자들에게는 일과 가정의 균형을 유지하거나 휴식 시간을 확보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수 있지만, 일부 근로자들은 업무량 증가와 피로도 상승 등의 부정적인 영향을 받을 수 있다.
이에 근로자에 대한 보상, 보호 정책은 대안으로 볼 수 있지만 현실성 논란이 불가피하다.
'집에서 하는 공부 > 빅데이터+인공지능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ChatGPT]미국 기준 금리의 변화 요인과 예측: CPI, 실업률, 경제성장률 분석(+인공지능) (1) | 2023.03.13 |
---|---|
[ChatGPT]이슈 단어 찾아 주는 프로그램 (3) | 2023.03.10 |
[ChatGPT]Python을 이용한 주식 추천 시스템 개발 (3) | 2023.03.08 |
[ChatGPT]ChatGPT로 쓴 자소서를 판별해보았다: 그 결과는? (1) | 2023.03.07 |
[ChatGPT]로또 분포 그래프(로또 당첨되어보자!) (2) | 2023.03.04 |